SK텔레콤 2024년 2분기 실적의 주요 내용은 많은 언론사에서 다뤘듯이 아래와 같습니다.
- 매출 4조 3,064 억원
- 영업이익 4,634 억원
- 순이익 3,478 억원
매출이 4조 3,064억원인데 영업이익이 4,634억원이니
영업이익률은 10.7% 정도입니다.
자 주요 숫자는 확인이 끝났으니
저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SK텔레콤이 공식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실적발표 자료를 읽어봅니다.
작가의 글을 보고 작가의 스타일을 알 수 있듯이,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실적발표 자료를 읽어보면 회사의 스타일을 알 수 있기 때문이죠.
눈길을 끄는 문구가 있습니다.
SKT는 AI Pyramid 전략 하에서 AI 투자를 지속 집행 중이며,
투자회사 및 GTAA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Global AI Company로 도약하고자 함
제가 SK텔레콤에 대해 너무 관심이 없던 걸까요?
SK텔레콤은 '통신사'라고만 생각했었는데,
SK텔레콤 경영진들은 회사를 'Global AI Company'를 만들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음, 누구나 계획은 세울 수 있으니 AI company가 된다는건 일종의 '희망'이 아닐까 생각해봤는데요.
실적발표 자료를 더 읽어내려가다 보니 생각이 좀 달라집니다.
아래처럼 2024년에 AI 관련 투자를 2억 2천만 달러나 했습니다.
2억 2천만 달러에 1,350원 환율을 적용하면 무려 2,970억원이나 되는 금액을 AI에 투자한겁니다.
2024년 2월 Lambda에 1,000만 달러
2024년 6월 - 생성형 AI 검색 전문 기업인 Perplexity에 1,000만 달러
2024년 7월 - AI DC 통합 솔루션 기업인 SGH(Smart Global Holdings)에 2억 달러 투자
3개의 투자 중 Perplexity는 저도 들어본 회사입니다.
최근 SK텔레콤에서 SK텔레콤 고객들에게만 Perplexity를 1년 동안 무료로 Pro 모델을 사용하게 해줘 KT고객인 저는 좌절감을 느꼈는데, 이제서야 왜 SK텔레콤이 Pro 모델을 사용하게 해줬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SK텔레콤이 국내 통신사에 머무르지 않고,
Global AI company로 도약할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대한민국에서도 미국의 AI 기업에 밀리지 않는 AI 기업이 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
저는 경제 전문가도 아니고 투자 전문가도 아닌 개인적인 의견을 포스팅합니다.
세상의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걸 잊지 말아주세요.
'든든한 노후를 위한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전은 LG'라고 하지만 LG전자는 잘 굴러가고 있는걸까? (2) | 2024.11.22 |
---|---|
빙그레(005180) 2024년 반기보고서 분석 (4) | 2024.11.09 |
노후준비를 위해 가장 중요한건 매월 꾸준한 투자금 납입하기 (0) | 2024.07.15 |
TIGER 월배당 ETF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분석 및 구성종목 (0) | 2024.07.02 |
연금저축계좌를 위한 TIGER 200 금융 ETF 분석 및 구성종목 (0) | 2024.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