든든한 노후를 위한 경제 공부

연금저축계좌를 위한 삼성자산운용 KODEX 은행 ETF 분석 및 구성종목

nohooready 2024. 6. 12. 22:22

 

 

 

연금저축계좌의 잔고를 쑥쑥 자라나게 하기 위해 어떤 ETF를 매수하면 좋을지는 저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의 고민일겁니다.

 

사회초년생인 20대나 30대라면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들이 담긴 ETF들에 관심이 가겠지만, 40대인 저는 성장주보다 현금흐름에 도움이 되는 배당주에 점점 관심이 갑니다.

 

물론 성장주는 완전히 배제하겠다는건 아니지만 전체 연금저축계좌 자산 중 상당 비중을 배당과 관련된 ETF로 가져가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은행'에 속한 기업들로 구성된 ETF인 '삼성자산운용 KODEX 은행 ETF 분석 및 구성종목'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왜 하필 은행 ETF에 관심을 갖게 될까요?


 

배당주들 중에 대표적인 업종이 '은행업'입니다.

 

왜일까요?

 

직장생활을 하면 주변에 대출없는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의식주 중에 제일 돈이 많이 들어가는 '주'인 집을 구하기 위해서는 한달 월급은 말할 것도 없고 수십년에 가깝게 월급을 모아야 합니다.

 

집을 사거나 전세금을 마련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 바로 은행입니다. 그만큼 은행에서는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11일 기준으로 국내 KOSPI에 상장된 시중은행들 중 시가총액 5위까지의 리스트를 아래 표에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종목명 배당수익률 (%) 시가총액
KB금융 3.9 31조 6,353억원
신한지주 4.55 23조 5,340억원
하나금융지주 5.7 17조 4,537억원
기업은행 7.34 10조 6,935억원
우리금융지주 7.09 10조 4,705억원

(출처 : 네이버증권)

 

주가는 언제든 오르락 내리락 하기 때문에 논외로 치고,

오직 배당수익률만 보면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11일 기준으로 KB국민은행의 'KB Star 정기예금' 상품 1년 금리가 3.45%인데,

5개 은행들의 배당수익률을 평균을 계산해보니 5.716% 입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마음이야 아프겠지만,

은퇴 시점에 은행주들을 보유한채로 평생 배당금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전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삼성자산운용 KODEX 은행 ETF 분석


 

자, 아래 표는 제가 정리해본 'KODEX 은행' ETF의 주요 정보입니다.

 

ETF 이름 KODEX 은행
종가 7,910원
순자산총액 2,828 억원
20일 평균 거래량 662,723 주
20일 평균 거래대금 (억원) 53 억원
2023년 분배율 5.29%
총보수 연 0.3%
분배금 지급 기준일 1,4,7,10월 마지막영업일
기초지수 KRX 은행 지수

(2024년 6월 11일 기준)

 

사람마다 중요하게 보는 정보들이 다르겠지만 저는 일반 주식을 매수할 때도 아래 정보들을 비중있게 살펴봅니다.

 

  1. 순자산총액 (일반 주식의 시가총액과 비슷한 개념)
  2. 거래량

왜 위의 정보들을 중요하게 생각할까요?

 

제가 매수한 ETF 혹은 주식을 매도해야 할 때 거래량이 적다는건 원하는 시점에 현금화할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사람들에게 인기있어야 순자산총액(시가총액)이 커지기도 하기 때문이죠.

 

개인적으로 아래 조건을 선호합니다.

 

  • 순자산총액은 1,000억원 이상
  • 거래량은 100,000건 이상

삼성자산운용 KODEX 은행 ETF 구성종목(TDF)


 

이번에 살펴볼 내용은 KODEX 은행' ETF의 구성종목입니다. 쉽게 말하면 KODEX 은행' ETF에는 어떤 은행주들이 담겨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아래 표를 보실까요?

(제일 위에 있는 원화예금은 은행주 이름이 아니고 여러분들이 흔히 하는 예금이니 무시하셔도 됩니다.)

 

번호 종목명 비중(%)
1 원화예금 -
2 KB금융 23.88%
3 하나금융지주 20.84%
4 신한지주 20.00%
5 우리금융지주 12.88%
6 카카오뱅크 10.06%
7 기업은행 4.83%
8 JB금융지주 2.98%
9 BNK금융지주 2.86%
10 DGB금융지주 1.55%
11 제주은행 0.11%

(2024년 6월 11일 기준)

 

KODEX 은행' ETF는 앞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KRX 은행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위 표와 같은 종목들을 담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이지만 10.06%의 비중을 차지하는 '카카오뱅크'가 인상적입니다.

 


마치며


 

개인연금을 위한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어떤 ETF를 담아놓을지 많은 분들이 고민하실텐데요.

 

오늘 제가 정리한 KODEX 은행' ETF에 관심이 있으셨다면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

 

저는 경제 전문가도 아니고 투자 전문가도 아닌 개인적인 의견을 포스팅합니다.

세상의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걸 잊지 말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