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에 상장된 그룹 리스트
요새 언론에서는 국내증시(국장)에는 미래가 보이지 않아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미국증시(미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주변 지인들만 봐도 다들 미국 기업들의 주식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 손해볼 일이 없다는 무서운 말씀을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국내증시의 대표지수인 KOSPI와 KOSDAQ 지수의 추세를 보고,
미국증시의 대표지수인 다우존스지수, S&P 500지수, NASDAQ 지수의 추세를 보면
왜 그런지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투자자들이 국내증시에서 손해만 보는걸까요?
그럴리는 없습니다.
한국에도 슈퍼개미는 존재하니까요!
미국 기업들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한국에도 '능력'있는 기업들은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 1위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한국이 2023년 GDP 1조 8,394억 달러를 기록하여
세계 10위를 달성한게 아닐까요?
(무려 세계 10위 입니다!)
한국 기업하면 대기업, 대기업은 보통 무슨무슨 그룹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국인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기업인 '삼성전자'는 '삼성그룹'에 속해있는 것처럼 말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증시에 상장된 그룹사 리스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국내증시에 상장된 그룹 리스트
국내증시에 상장된 그룹 리스트를 아래 표에 정리해봤습니다.
(정렬된 순서의 기준은 '가나다'순서임을 참고해주세요.)
처음 조사를 하기 전에는 그룹이 몇 개 없을줄 알았는데,
예상보다 훨씬 많은 '61개의 그룹'의 계열사들이 국내증시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에 있는 그룹이름으로 상장되었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각 그룹의 계열사들이 상장되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번호 | 그룹명 |
1 | 글로벌세아 |
2 | 금호아시아나 |
3 | 넷마블 |
4 | 농심 |
5 | 농협 |
6 | 다우키움 |
7 | 대림 |
8 | 동국제강 |
9 | 동원 |
10 | 두산 |
11 | 롯데 |
12 | 미래에셋 |
13 | 삼성 |
14 | 삼양 |
15 | 삼천리 |
16 | 세아 |
17 | 셀트리온 |
18 | 신세계 |
19 | 아모레퍼시픽 |
20 | 아이에스지주 |
21 | 애경 |
22 | 에코프로 |
23 | 엘엑스 |
24 | 영원 |
25 | 영풍 |
26 | 웅진 |
27 | 원익 |
28 | 유진 |
29 | 이랜드 |
30 | 카카오 |
31 | 케이씨씨 |
32 | 케이티 |
33 | 케이티앤지 |
34 | 코오롱 |
35 | 태광 |
36 | 태영 |
37 | 포스코 |
38 | 하림 |
39 | 하이트진로 |
40 | 한국앤컴퍼니그룹 |
41 | 한솔 |
42 | 한진 |
43 | 한화 |
44 | 현대백화점 |
45 | 현대자동차 |
46 | 효성 |
47 | BGF |
48 | CJ |
49 | DB |
50 | DL |
51 | DN |
52 | GS |
53 | HD현대 |
54 | HDC |
55 | HL |
56 | KG |
57 | LG |
58 | LS |
59 | OCI |
60 | SK |
61 | SM |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
저는 경제 전문가도 아니고 투자 전문가도 아닌 개인적인 의견을 포스팅합니다.
세상의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걸 잊지 말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