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제목이 낯이 익으신가요?
그렇다면 아마도 아래의 제 지난 포스팅을 읽으셨기 때문일겁니다.
2024.06.12 - [개인연금(연금저축)] - 연금저축계좌를 위한 삼성자산운용 KODEX 은행 ETF 분석 및 구성종목
연금저축계좌를 위한 삼성자산운용 KODEX 은행 ETF 분석 및 구성종목
연금저축계좌의 잔고를 쑥쑥 자라나게 하기 위해 어떤 ETF를 매수하면 좋을지는 저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의 고민일겁니다. 사회초년생인 20대나 30대라면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들이 담긴 ETF들에
nohooready.tistory.com
KRX 은행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이 2개인데 하나는 위의 링크에 있는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은행'이고, 또하나는 오늘 말씀드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은행'입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을 시작해보겠습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은행 ETF 분석
자, 아래 표는 제가 정리해본 'TIGER 은행' ETF의 주요 정보입니다.
ETF 이름 | TIGER 은행 |
종가 | 8,280원 |
순자산총액 | 103 억원 |
20일 평균 거래량 | 26,394 주 |
20일 평균 거래대금 (억원) | 2 억원 |
2023년 분배율 | 7.13% |
총보수 | 연 0.46% |
분배금 지급 기준일 | 1,4,7,10월 마지막영업일 |
기초지수 | KRX Banks |
(2024년 6월 12일 기준)
재미있는 건 ETF 1주 가격과 분배율은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은행'보다 높은데,
순자산총액과 평균 거래량은 압도적으로 적습니다.
한 가지 더 재미있는 'KODEX 은행'과 'TIGER 은행' 모두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데,
'TIGER 은행'의 총보수가 더 높습니다.
TIGER 은행 vs KODEX 은행 ETF 비교
글로만 말씀드리면 더 헷갈리실 수 있으니 두 ETF의 주요 정보를 비교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ETF들의 주요 정보 중 우세한 항목에 대해서는 파란색으로 표시해봤습니다.
하루 사이에 큰 변화가 있는건 아니기 때문에, TIGER은행은 2024년 6월 12일 기준이고, KODEX 은행은 하루 전날인 2024년 6월 11일 기준 데이터로 비교했습니다.
ETF 이름 | TIGER 은행 | KODEX 은행 |
종가 | 8,280원 | 7,910원 |
순자산총액 | 103 억원 | 2,828 억원 |
20일 평균 거래량 | 26,394 주 | 662,723 주 |
20일 평균 거래대금 (억원) | 2 억원 | 53 억원 |
2023년 분배율 | 7.13% | 5.29% |
총보수 | 연 0.46% | 연 0.3% |
분배금 지급 기준일 | 1,4,7,10월 마지막영업일 | |
기초지수 | KRX Banks |
'TIGER 은행'은 2개 항목에서 우세하고,
'KODEX 은행'은 4개 항목에서 우세를 보여줍니다.
어떤 항목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의 선호도가 달라질거라 생각됩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은행 ETF 구성종목(TDF)
'TIGER 은행'의 구성종목은 'KODEX 은행'과 똑같습니다. 추종하는 기초지수가 똑같기 때문이죠.
다만 비중에서 근소하게 차이가 있긴 합니다.
번호 | 종목명 | 비중(%) |
1 | KB금융 | 23.64 |
2 | 하나금융지주 | 20.68 |
3 | 신한지주 | 20.19 |
4 | 우리금융지주 | 12.78 |
5 | 카카오뱅크 | 9.93 |
6 | 기업은행 | 4.72 |
7 | JB금융지주 | 2.91 |
8 | BNK금융지주 | 2.79 |
9 | DGB금융지주 | 1.49 |
10 | 제주은행 | 0.11 |
11 | 원화예금 | 0.75 |
(2024년 6월 12일 기준)
마치며
지난 포스팅에 이어 2개의 KRX 은행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살펴봤으니 2개의 ETF 중에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하는지 선택의 시간이 왔습니다.
앞에서 'TIGER 은행'과 'KODEX 은행'의 주요 정보를 비교했었는데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땠나요?
저는 순자산총액과 거래량 그리고 총보수에 눈길이 가는데요. 그래서인지 제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은행업을 위한 ETF는 'KODEX 은행'을 선택할 것 같네요.
이건 어디까지나 제 의견이기 때문에 제가 투자 권유를 한다고 생각하는 일은 없으시길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
저는 경제 전문가도 아니고 투자 전문가도 아닌 개인적인 의견을 포스팅합니다.
세상의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걸 잊지 말아주세요.
'든든한 노후를 위한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월배당 ETF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분석 및 구성종목 (0) | 2024.07.02 |
---|---|
연금저축계좌를 위한 TIGER 200 금융 ETF 분석 및 구성종목 (0) | 2024.06.20 |
연금저축계좌를 위한 삼성자산운용 KODEX 은행 ETF 분석 및 구성종목 (0) | 2024.06.12 |
미래에셋자산운용 개인연금 투자가능 ETF 확인 방법 (0) | 2024.06.09 |
삼성자산운용 개인연금 투자가능 ETF 확인 방법 (0) | 2024.06.07 |